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청년도약계좌 소득 구간 및 소득 기준 완벽 정리

by 정보도시락 2025. 8. 1.
반응형

청년도약계좌는 단순한 적금이 아닙니다. 정부가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기여금을 추가로 지급하는 제도죠. 하지만 이 기여금을 받기 위해서는 소득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. 오늘은 그 기준을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.

 

청년도약계좌 소득 구간 및 소득 기준

✅ 1. 개인 소득 기준

청년도약계좌 가입을 위해 가장 먼저 보는 항목은 개인의 총 급여(또는 종합소득)입니다.

개인 소득 구간 가입 가능 여부 정부기여금 수령
6,000만 원 이하 가입 가능 O (기여금 지급)
6,000만 ~ 7,500만 원 가입 가능 X (비과세 혜택만)
7,500만 원 초과 가입 불가 X

🔍 기준 정리 : 공식홈페이지 기준  자세히 보기

  • 근로소득자: 총 급여 기준 (국세청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 참고)
  • 자영업자·프리랜서: 종합소득 기준 (종합소득세 신고내역 기준)

   

  ✅ 2. 가구소득 기준 (중위소득)

정부기여금을 받으려면 개인 소득 외에도 가구 소득이 일정 기준을 넘지 않아야 합니다.

가구원 수 중위소득 180% 기준 (2025년)
1인 3,783,000원
2인 6,270,000원
3인 8,078,000원
4인 9,832,000원

→ 건강보험료 기준으로 심사되며,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 기준 상이

📌 참고

기준 중위소득은 복지로 또는 정책브리핑에서 매년 확인 가능합니다.

 

 

🧩 소득 초과 시 어떻게 될까?

  • 6천~7천5백만 원: 가입은 가능하지만 기여금은 지급되지 않음
  • 7천5백만 원 초과: 원칙적으로 가입 불가

📝 요약

  • 총급여 6천만 원 이하 + 중위소득 기준 이하 충족해야 기여금 수령 가능
  • 소득이 초과되면 비과세 혜택만 적용
  • 가구원 수에 따라 기준은 달라지므로 건강보험료 기준표 확인 필수

 

 

 

 

반응형